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하나의 물건을 사고 어울릴만한 물건을 추가적으로 구매하는 현상
18세기 프랑스 철학자 '드니 디드로' 친구로부터 멋진 가운을 선물 받았는데 이로 인해
서재 전체를 바꾸게 되었다는 일화에서 유래
일반적으로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어지는데,
마케팅 타켓의 상대는 헬로키티 팬이 방 전체를 헬로키티로 도배하여 소비하는 모습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소비심리학적인 관점에서는 이는 소비에 있어서 정체성이나 사회적 지위나 역할과 같은
자신의 표현 수단으로써 구매한다고 보여진다.
이는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동질성, 문화성 측면에서의 나타나는 현상으로
현대사회에서 소비주의 행태로 이루어지는 모습에서 기업의 target이 되기 십상이다.
디드로 효과를 통한 마케팅으로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애플(apple)社라고 할 수 있겠다.
그 들은 단순한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문화를 파는 것이다.
앞으로 다가온 4차 산업혁명과 더욱더 삭막해지는 현대사회에서
디드로 효과를 통한 마케팅은 이루어지는 소비는 더욱더 빛을 발할 것이다.
지금 생각해봐도 소위 우리가 말하는 "애플 감성"을 만든 애플(apple)社와 故스티브 잡스의 위대함을 느낀다.
문화를 파는 기업이라..
디드로 효과 관련 생각나는 몇몇 기업들
starbucks, apple, disney
좀 더 기업을 공부해야겠당!
끗-!
'경제활동 > 경제이론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샴의 법칙]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레몬시장 (0) | 2019.08.29 |
---|---|
[끄적끄적]국내 항공사 적자 (0) | 2019.08.21 |
보상 원칙-칼도-힉스 기준(Kaldor - Hicks criterion) (0) | 2019.07.01 |
[경제공부]2019년 전과 후 부동산 (0) | 2019.06.16 |
[경제공부] 신세계, 롯데상품권 역전 (상품권 시장의 변동) (0) | 2019.06.11 |
댓글